본문 바로가기

이성

이성과 탐험적 사고 목차프롤로그1.방어적 사고와 탐험적 사고2.현실 세계에 적용하는 이성3.탐험적 사고의 중요성4.제도와 합리적 공유지5.사고실험6.자기절제와 합리성7.탐험적 정체성 전략참고문헌프롤로그합리성이란 무엇일까? 사전에서 '합리적'이라는 단어는 "이성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고 한다. 그리고 '이성'은 라틴어 'ratio'에서 유래했는데, 짐작하셨겠지만 이 어원은 "합리성"을 의미한다. 그렇다면 어원이 우리를 혼란스럽게 한다면 철학이 도움을 줄 수 있을까? 철학자들은 합리성을 지식을 활용하여 목표를 달성하는 능력이라고 말한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지식'이라는 용어는 정당화된 참된 믿음을 의미한다. 누군가가 잘못된 믿음에 따라 고의로 행동한다면, 예를 들어 지갑이 어디에 있는지도 모르는 곳에서 지갑을 찾는 것처.. 더보기
프로메테우스와 판도라 부제: 의식(아니무스)과 무의식(아니마) 사이 진보의 역설목차프롤로그1.무의식과 판단2.오감과 사고3.감정과 이성4.신체와 창의력5.감수성과 자제력에필로그참고문헌프롤로그뇌는 고립된 사고 장치가 아니다. 머리로 하는 결정, 머리가 하는 일, 그리고 지식인들처럼 우리는 언어에서 머리, 더 정확히는 뇌가 사고를 담당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는 감정을 직감이나 심장에 두고 싶어 하며, 머리와 몸을 적대시하는 것처럼 생각한다. 어떤 사람은 살을 빼고 싶어 하고, 다른 사람은 초콜릿을 원하지만 우리는 보통 뇌를 몸의 나머지 부분과 완전히 분리되어 작동하는 계산기처럼 생각한다. 주변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든 약간의 정보만 입력하면 결과를 얻을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말도 안 된다. 사실, 몸과 마음이 서로 다른.. 더보기
감정 그 이상의 경험 목차1.감정 그 이상의 전신 경험2.감정과 이성의 조화3.감정과 기억4.감정의 진화5.정서적 유대와 희생6.정보처리에서 감정의 역할참고문헌1.감정 그 이상의 전신 경험감정은 가장 깊은 관계부터 가장 덧없는 일상의 상호작용까지, 인간 경험의 모든 측면을 형성하지만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과학자들은 여전히 ​​감정이 정확히 무엇인지 정의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우리가 아는 것은 감정이 우리 몸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다는 것이다. 어쩌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보다 더 깊이 자리 잡고 있을지도 모른다. 우리의 소화계를 예로 들어 봅시다. 소화계는 과학자들이 "제2의 뇌"라고 부를 정도로 정교한 신경망으로 이루어진 거대한 네트워크를 가지고 있다. 이 신경망은 미주신경이라는 통로를 통해 우리의 실제 뇌와..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