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진보

진보와 미래 목차프롤로그1.식량, 위생 및 부의 향상2.평화, 환경 및 교육의 향상3.진보와 더 나은 세상4.민주주의와 관용 및 진보5.번영과 미래 세대에 대한 투자참고문헌프롤로그미래의 사람들이 왜 중요한가? 앞으로 모든 사람의 삶, 즉 그들이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좋든 나쁘든 상관없이 그들이 삶을 모두 겪어야 한다는 것을 안다면 어떻게 하겠는가? 현재 당신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탄소 배출량을 줄이는 것을 원하는가?새로운 기술 인공지능을 조심스럽게 다루길 원하는가? 아니면, 오늘의 행동이 내일의 상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주의를 기울이길 원하는가? 이 모든 질문에 대한 당신의 답은 아마도 '예'일 것이다. 물론 당신은 우리가 최선을 다해 당신 후손의 좋은 미래를 만들어 주기를 바랄 것이다. 장기주의에 따르.. 더보기
집단지능과 경제 목차1.나비효과2.집단지능과 진보3.셰일혁명과 중동4.블랙스완과 안티프레질5.노동분업과 집단지능6.운송과 에너지 티핑포인트7.개방적 사고8.집단지능과 부의 창출9.러시아와 중국의 에너지 전략참고문헌1.나비효과역사의 얼마나 많은 부분이 칼날 위에서 흔들렸는지 생각해 본 적이 있는가? 바람 한 줄기, 사소한 결정 또는 우연한 만남이 사건을 근본적으로 다른 방향으로 돌렸을 수 있을까? 역사를 자세히 살펴보면 세계의 운명이 종종 실낱같은 희망에 달려 있다는 놀라울 만큼 많은 증거를 발견하게 될 것이다. 롱 아일랜드 전투에서 워싱턴의 군대는 다음 날까지 살아남아, 결국 독립 전투에서 승리했다. 미국의 자유를 향한 투쟁의 방향을 바꾼 사건은 중요한 순간에 발생한 기상 변화(제갈량의 적벽대전에 비견)였다. 역사적으로.. 더보기
공화정과 전체주의 및 진보 목차프롤로그1.사회계약의 전제2.국가의 번영과 제도3.사회계약과 일반의지4.포용적 제도5.대중집회와 일반의지6.착취적 제도7.전체주의 가면에필로그참고문헌프롤로그17세기 중반까지 유럽은 오랫동안 봉건주의 통치 하에 있었으며, 이는 사회가 주로 농민과 귀족의 두 계층으로 구분되었음을 의미했다. 그러다가 1648년에 일련의 조약인 베스트팔렌 조약이 체결되면서 유럽 대부분 지역의 봉건제는 사실상 종식되었다.그 잿더미에서 군주 대신 정부가 통치하는 새로운 종류의 사회가 생겨났다. 이 새로운 정부 통치 하에서 지역 사회는 더 동질화되고 각자 독특한 국적을 갖게 되었는데, 이로 인해 유럽의 여러 지역이 국가로 알려지게 되었다.1.사회계약의 전제인간은 자유롭게 태어났지만, 사회가 사람들에게 강요하는 법과 관습으로, 사.. 더보기
보수의 논리 목차1.자유주의의 성쇠2.비침략적 공리 원칙과 선택의 자유3.진보와 자유 및 노예제도4.도덕성과 합법성의 차이5.공립교육의 해와 복지의 낭비6.연준과 경제순환7.공공 부문의 민영화8.자원부족과 환경오염의 해법9.반전과 내정 불간섭에필로그참고문헌1.자유주의의 성쇠고전적 자유주의자들은 대중의 삶을 개선하기 위해 시장을 자유화하고 중앙 통제를 없애고자 했다. 그들은 끊임없는 전쟁과 정치적 억압을 종식시키고 싶어했다. 그리고 그들은 왕들이 종교를 이용해 폭정을 정당화하는 것을 막고 싶었다. 이러한 원칙은 미국 건국 초기에 매우 중요했지만 반드시 그렇게 유지된 것은 아니었다. 그렇게 자유주의는 미국 역사 전반에 걸쳐 발전했다. 미국 독립 전쟁 당시, 미국은 제한된 정부라는 자유주의 원칙을 건국 문서에 포함시켰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