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칸트

서양 사상사 개관 II 목차프롤로그1.철학적 사고2.소크라테스와 플라톤3.아리스토텔레스4.에피쿠로스5.스토아주의6.기독교7.카르티아니즘8.루소9.칸트10.니체11.현대 인본주의12.비트겐슈타인에필로그참고문헌7.카르티아니즘16세기와 17세기에 인류는 기존의 현실 개념을 완전히 뒤엎었다. 예를 들어, 니콜라우스 코페르니쿠스와 같은 천문학자와 수학자들이 개발한 우주 모델에서 우주는 무한한 공허로, 지구는 그 중심에 분명히 존재하지 않았다. 한편, 아이작 뉴턴과 같은 물리학자들이 개발한 이론의 여파로 사람들은 우주가 정밀하게 측정되고 계산될 수 있는 힘에 의해 지배된다고 이해하게 되었다. 이러한 이해가 당시 사람들에게 얼마나 큰 공포의 심연을 열어주었을지 상상하기 어렵다. 이제 우주가 무한하고 차갑게 기계적인 것처럼 보이게 되자, 인.. 더보기
르디플로로 사상의 흐름 따라 잡기 1. 절대주의와 상대주의 슈펭글러의 저서에 포함된 가정들은 과거의 분석과 현재의 평가 를 기반으로 한다. 슈펭글러는 인류 역사상 총 8개의 문명이 있었 다고 주장하며, 문명을 탄생-성장-쇠퇴-사망하는 생명체로 봤다. 문명은 이전에 존재했던 ‘고등 문화’의 결과로, 고등 문화가 완성 되고 끝나는 지점이다. 슈펭글러는 로마 역사와의 비교를 통해, “몇 세기에 걸친 보편적 역사의 한 단계”인 서구 문명은 이미 전성 기를 지났고, 종말에 가까워졌음을 인정해야 한다며 이제는 종말 이후 무엇을 할지 생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슈펭글러가 이런, ‘조기 몰락’이라는 진단을 내린 근거는 무엇일 까? “인류가 살아있는 자연의 무한한 생명력에서 멀어지고 있으 며, 우주적인 감정을 상실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 슈펭글러가 ..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