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본소득 썸네일형 리스트형 현실 경제 II 목차 프롤로그 1.인간의 특성과 경제학자들의 아집2.이윤 추구의 관성과 경제위기3.기득권 다툼과 차이나 쇼크4.지구를 구하기 위한 부의 재분배5.이민과 정치 셈법6.기술 혁신과 경제 불평등7.세금과 규제8.시장과 국가 시스템9.기본소득에필로그참고문헌5.이민과 정치 셈법오늘날 이민보다 더 논란이 많은 문제는 없을 것이다. 도널드 트럼프와 같은 정치인들은 자국의 자원을 고갈시키고 지역 주민의 정체성을 위협하는 굶주린 이민자 무리에게 포위당해 있다고 묘사해 왔다. 정치인들은 수요와 공급이라는 단순한 경제 모델을 사용하여 이민이 왜 그토록 큰 문제인지 설명한다. 이민자들은 미국과 같은 선진국의 경제적 부에 매료되어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그곳으로 이주할 것이라는 주장이다. 이민자들이 도착하면 값싼 노동력이 과잉.. 더보기 AI 유토피아를 꿈꾸며 목차프롤로그1.산업혁명과 정보혁명2.러다이트와 발상의 전환3.일자리 위기의 현실화4.기술혁명과 변화5.자본주의의 위기6.기본소득이 해법7.유토피아적 혁명이 되려면에필로그참고문헌프롤로그세상에서 AI의 지위가 점점 커지고 있으며, 그 잠재력은 엄청나다. 인공지능이 여러분의 일상생활에서 어떤 역할을 하는지 잠시 생각해 보라. Siri에게 날씨가 어떤지 물어볼 때마다, 자동 자막이 달린 YouTube 동영상을 볼 때마다, Gmail에서 제공하는 편리한 이메일 답장을 보낼 때마다 AI와 상호작용하는 것이다. AI에는 수많은 다양한 응용 분야가 있지만, 우리는 아직도 그 잠재력의 일부만 살펴보고 있다. AI는 사물인터넷(IoT)을 통해 우리 일상생활에 더욱 큰 부분을 차지하게 될 것이다. 이 기술을 사용하면 일상 .. 더보기 공유경제와 팬데믹 목차1.공유경제의 의미와 활용2.공유경제 플랫폼과 성공모델3.공유경제의 헛점4.공유경제의 민낯5.기본소득의 절감6.기술과 공유경제7.음반산업과 공유경제8.탈선공유경제와 해법9.팬데믹과 미래경제10.팬데믹과 미래정치11.팬데믹과 기술혁신참고문헌1.공유경제의 의미와 활용사람과 플랫폼이 협력 경제를 창조하고 자본주의를 재창조하는 우버나 에어비앤비를 이용해본 적이 없더라도, 아마 들어보았을 것이다. 서로 서비스를 거래하고자 하는 사람들을 위한 플랫폼인 이러한 회사들은 전 세계를 강타하며 적지 않은 논란을 불러일으켰다. 이러한 플랫폼은 때때로 협력 경제라고 불리는 경제에 속하는데, 여기서 수평적 네트워크는 전통적인 상향식 수요-공급 경제를 우회한다. 수년간 우리는 원하는 것을 사기만 했는데, 이제는 많은 사람이 .. 더보기 자본주의 이후의 경제 목차 프롤로그 1.중앙거래 시스템(화폐경제의 중앙화)에서 시장 시스템으로 2.시장 시스템(화폐 경제의 탈중앙화)에서 중앙거래 시스템으로 대전환 3.생명경제란? 4.죽음의 경제에서 다시 생명 경제로 대전환 5.기본소득과 존재적 위험 에필로그 참조문헌 프롤로그 돈이 없었던 선사시대에는 신용, 회계, 장부가 거래의 중심축이었다. 화폐가 통용되기 전에는 사회 신용으로만 거래가 이루어졌으며, 보통 쌍방간 거래가 아니라 다자간 거래로서 일시적이 아닌 지속적 거래가 이루어졌다. 가족 및 부족 간 거래는 공동생산 공동분배를 했기에 장부가 필요했다. 그러한 유산이 오늘날 회사 내 내부거래로서 그 기록을 회계로 남긴다. 그러다 역사시대에 접어들어 동전, 화폐가 발명되어 타자와 양자간 일회성 거래가 이루어졌다. 즉 분산 화.. 더보기 이전 1 다음